본문 바로가기

정치학 국제관계학

John Stuart Mill (존스튜어트 밀)- Utilitarianism (공리주의)


사진출처: 본인



"밀의 이러한 정신적 성장과정은 분명 천재의 그것이었지만, 자만할까 두려워한 아버지의 교육으로 밀 스스로는 자신이 천재라고는 한 번도 생각하지 못했다고 한다. 다만 교우관계가 부족했고, 다른 또래 아이들처럼 나이에 걸맞은 놀이 문화를 경험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을 정도라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찾아본 존 스튜어트 밀은 이렇다. 하하. 밀무룩... 

오늘 다시 정리해볼 내용은  밀이 벤담으로부터 물려받은 Utilitarianism의 개념 과 <On liberty>에서의 Liberty이다. 렉쳐러가 말하기에 시험에 나올 내용은 Utilitarianism 보다 Liberty라고 했지만, 혹시 모르니 배운 모든 내용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To examine Mill's utilitarian account of morality, exploring his distinction between the high and low pleasures and the connection with justice. (Talking points: utilitarianism; higher and lower pleasures; justice)

2. To explore Mill's justification for free speech, analyse his notion of 'experiments in living', and examine his 'simple' harm principle as an account of the limits to legitimate state interference. (Talking points: Freedom of speech; harm/offence)





먼저, Utilitarianism에 대해 알아보겠다. What is Utilitarianism? (Dr. Edward Hall의 렉쳐노트 참조)


What is the supreme moral principle-end or goal- that allows us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Utilitarianism: "the creed which accepts as the foundation of morals, utility, or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and] holds that actions are right in proportion as they tend to promote happiness, wrong as they tend to produce the reverse of happiness". (right-happiness 그리고 wrong-the reverse of happiness)

Must act so as to maximise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 number.

Consequentialist position (결과주의자 혹은 목적론자)


Content


Happiness (행복) = pleasure & the absence of pain (기쁨 그리고 고통이 없는 상태)

Unhappiness (불행) = pain & the absence of pleasure  (고통 그리고 기쁨이 없는 상태)


1. Pleasure, and the absence of pain, are the only things desirable as ends. (흠, 그렇다면 행복하면끝인거임?)

2. All desire things are desirable either for the pleasure inherent in them or as a means to pleasure. (모든 욕망은 그 자체 행복으로써 혹은 행복을 향한 수단으로써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For Utilitarianism (찬성파!)


-Most people do seem to pursue happiness.

-Utilitarianism is simple-it doesn't require problematic belief in moral institutions or God.

-Impartial because it treats people equally.

-Good basis for public policy


Against Utilitarianism (반대파!)


-Are consequences the only things that matter morally speaking?(결과만이 도덕의 척도가 되는가? 과정은 어쩌고?)

-Bernard Williams- A Critique of Utilitarianism 

-"Utilitarianists don't seem to feel responsible. "


1. Jim and the Indians (http://hauskeller.blogspot.co.uk/2013/04/jim-and-indians.html 참조)


 Jim is an explorer who stumbles into a South American village where 20 Indians are about to be shot. The captain, Pedro says that as a mark of honour to Jim as a guest, he will be invited to shoot one of the Indians, and the other 19 will be set free. If Jim refuses, all 20 Indians will be shot. What should Jim do?


(벽을 두고 인디언들이 결박되어 있는채로 무장한 사람들 앞에 일렬로 있는 상황에서 Jim이란 남자가 남아메리카에 있는 어느 광장에 있었는데, 대장으로 보이는 Pedro라는 사람이 Jim 에게 질문을 던졌다. Jim이 이 지역의 새로운 손님으로서 인디언 중 한명을 골라 총살하면, 다른 사람들을 살려주겠다고 했고, Jim 이 만약 제안을 거절한다면 모든 사람들을 살려주는 일은 없던 걸로 하고 모두 죽이겠다고 했다. 벽을 두고 Jim 이 그 제안을 수락하길 바라는 상황에서 Jim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


1. 한 명을 죽이고 나머지를 살린다. - 결과적으로 봤을때 많은 사람을 살리는 셈이다. 하지만 살인이라는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이 행동은 과연 정의로운가? Kill one Indian to save the rest? One dead is better than twenty dead? The question whether killing is really worse than letting die? For utilitarianists, not saving somebody is just as bad as killing somebody, and not saving two or more is worse. It follows that not killing somebody if that is the only way to save two or more is wrong. 하지만 이게 무서운 것이 많은 사람을 살린다는 명분아래 한 사람을 죽인다는 죄책감이 사라지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 (지극히 결과론적)


2. 제안을 거절한다. -거절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을 살리는 주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주체는 대장인 Pedro에게 있지 Jim에게 있는게 아니다. 따라서, 누구를 죽인다는 행위에 대한 도덕적 문제만 남을뿐 Jim 이 적극적으로 인디언들을 살리고 죽일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따라서, Utilitarianists의 선택은 옳다고 (정의롭다고) 볼 수 없다.


"The only real power that Jim has in this situation is the power that is given to him by the captain: to either kill one of the Indians or not to kill one of the Indians. Or more precisely, he has been granted the power to kill someone, but he does not have the power to save anyone (because neither his killing someone nor his not killing anyone prevents any of the Indians from being killed). This means that he would be responsible and culpable for killing one of the Indians, but he would not be responsible and culpable for the death of the Indians if he refused to kill anyone and they were subsequently killed by Pedro.


2. George


George is a scientist who is out of work. He is offered a job in a laboratory which does research into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George is strongly opposed to the manufacture of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If he does not take the job, his wife and his children will suffer. And if he does not take the job, it will be given to someone else who will pursue the research with fewer inhibitions. Should he take the job?


(George는 일이 부족한 과학자인데 시험실에서 일할 것을 제의받았다. 생화확 무기에 대한 연구를 하는 실험실인데 George는 생화학 무기 제조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다. 만약 그가 그 직업을 갖지 않으면, 아내와 아이들이 (금전적으로)고통받을 것이며,또한 그가 그 직업을 갖지 않으면 거리낌 없이 연구를 할 누군가에게  그 직업이 주어질 것이다. 이 상황에서 그는 그 직업을 가져야 하는 것인지 에 대한 문제. )


1. 그 직업을 갖는다. 하지만 그 직업을 가짐으로써 생계를 유지할 순 있겠지만 생화학 무기 제조에 일조하는 셈이다. 


2. 그 직업을 갖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George and Jim are not ones about potential sources of utility, but about their moral identity and integrity. George and Jim are faced by a challenge to who they are, not simply what they should do. The utilitarian approach alienates an individual from their own commitments and moral identity. For such commitments are not merely sources of satisfaction or happiness, but integral to the sense of one's identity." (공리주의적 접근은 개인을 약속과 도덕적 정체성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든다. 이러한 약속들은 단지 만족과 행복에 관한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정체성에 필수적인 것이다.)


아, 이런 상황 만들지 말지어다....


The Philosophy of Swine (돼지의 철학...배부른 돼지가 되느니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라는 말이 떠오른다. 나라면 음, 전 돼지할래요!)


1. Does pursuing pleasure alone wrongly assume that man is just the same as all other animals? (단지 행복을 추구한다는 것 하나만으로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다름이 없는가?)


2. Bentham- Pushpin is as good as poetry. ( it doesn't matter what makes you happy. ) 나를 행복하게 만들기만 한다면 뭐든 상관없다. Poetry가 Pushpin 보다 우위에 있는 것 절대 아님.


3. Higher pleasures manifest the elevated capacities of human intellect and creativity( artistic creativity, love, listening to great music). 고차원적 기쁨이란 것이 존재한다는 의미.


4. Lower pleasures (booze, sex, cigarettes) do not.


5. Mill, "Better to a human dissatisfied than a pig satisfied; Better to be Socrates dissatisfied than a fool satisfied"


Haydn and the Oyster


"당신은 지구에서 육체를 할당받기 기다리는 하나의 영혼이다. 천사가 나타나서 작곡가 하이든의 인생과 굴의 삶 중에 고르라고 한다. 하이든의 인생은  멋진 작곡을 통해 여행을 다니는 삶이다 하지만 굴의 삶은 하이든보다는 재미 없지만 그나마 따뜻한 물속에서 둥둥 떠다닐 수 있다.  그런데 하이든을 고르면 17살 나이에 죽어야 하고, 굴을 고르면 살고 싶은 만큼 살 수 있다. 무엇을 고르겠느냐....라는 질문." Roger Crisp (Mill on Utilitarianism, 1997)


만약 Mill이라면, 당연히 Haydn의 인생을 택했을 터. 하지만 여기서 문제점. 밀이 구분짓는 Higher and lower pleasures 가 elitist approach라는 점에서 problematic이라고 할 수 있다. 반쯤 취해 있으며 둥둥 떠있는게 하이든보다 못한 점인가!??!?!! 라는 의문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high와 low 를 구분짓는 주체는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점에서. The distinction between higher and low pleasures is reliable?


Justice, Utility, and Rights


Can utilitarianism make sense of justice and respecting rights? (공리주의와 정의는 양립 가능한가?)


It seems not: Transplant Case + Innocent Man. 


This suggests our belief in people's rights in justice are distinct from maximising utility. (공리를 최대화하는 것과 정의에서의 권리는 별개임. 결국)

 

However, Mill disagrees. He thinks we can give a utilitarian defence of justice and rights. 


Mill- justice originally a matter of conformity to law (정의는 원래 법에 따르는것?) 


Then became associated with violating laws that ought to exist. 


Justice is closely related to a notion of rights. 


Injustice involves: "a wrong done, and some assignable person who is wronged."


We want to punish those who threaten us and others. This is natural.


For Mill, rights captur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s for well-being and therefore the most stringent (엄중한) obligations. 


Since these conditions are so important- justice is important. 


Conclusion 


In <On Liberty>, Mill tries to defend liberty on utilitarian grounds.

His distinction between higher and lower pleasures matters.

Mill is interested in utility in the largest sense, grounded on the permanent interest of man as a progressive being.



Discussion Questions (세미나 시간에 했던 Utilitarianism과 관련한 Discussions written by Dr. Steve Cooke)

1. Make som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claim that the purpose of punishment is to prevent crime?

For-establishing order/ to make people free from the harm (people have rights to be safe from any harm)/ no guarantee that people don't commit crime and harm others. Harm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해서는 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또다른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처벌이 필수적이다. 정의롭지 않다 하더라도.

Against- the meaning of punishment can be to promote hegemony, to demonstrate power. ex) death penalty It is problematic in defining crime.  범죄를 정의하는 것 자체가 문제점이 될 수도 있고, 처벌의 목적이 범죄를 예방하는 것인지 현재의 견고한 헤게모니를 강요하는 수단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점.


2. Imagine you are part of a government task force given the job measuring the happiness of a country's population. How would you approach the problem, what would you do? 

행복을 이야기 하는 시점이 다르다. 행복의 기준이 다르다. 문화적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도 고려해야 한다. 행복은 숫자로 측정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


3. "It is better to be  a human being dissatisfied than a pig satisfied; better to be Socrates dissatisfied than a fool satisfied"- Why does Mill make this claim? Do you agree with him?

-It is elitist approach. Mill distinguished quality of pleasure and quantity of pleasure. He chose quality of pleasure which has two divisions- low pleasures and high pleasures. It is tricky to decide whether the desire things are regarded as high pleasures or low pleasures. It's contextual. At the same time, 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t is because valu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country we live in.  문화적 요소도 고려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는곳에 따라서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4. Should we break a promise if doing so will produce better overall happiness?

-It depends on a promise and it depends on a context.  행복을 가져오지 않는 행복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하지만 약속을 행복을 위해 약속을 깨는 것은 약속을 의미없게 만드는 일 아닐까? 반면에 행복없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 맞는 일일까?



5. During the 1940s Nazi scientist Sigmund Rascher carried out hypothermia tests by immersing prisoners of the Nazis in icy water, or strapping them naked in the snow. He also tested experimental blood coagulants by shooting prisoners in the neck and chest by amputating limbs without anaesthetic. Debates still continue about whether the date gleaned from his experiments should even be used regardless of whether it can save lives or not and many journals refuse to even publish data that has not been gathered ethically. Should the data from these experiments be used if it can save lives? Think about the issues in utilitarian terms? Do you think the utilitarian position is the correct one? (사람을 살리기만 한다면 비윤리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로 이루워진 저널이 쓰여져도 되는건가?)


결과론적으로 봤을때는, 당연히 사람을 살리는데 기여하는 저널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들을 살려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윤리적으로 정보를 수집했을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을 살릴 수 있더라도 애초부터 방법이 비윤리적이었기 때문에 공리주의적 입장은 타당하지 않다. 


RECAP! (Wikipedia 참조)


-Jeremy Bentham's famous formulation of utilitarianism is known as "the greatest-happiness principle"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인데, Mill의 공리주의는 제러미 벤담과 다르다.

-It holds that one must always act so as to produce the greatest aggregate happiness among all sentient beings, within reason. 


-Mill's major contribution to utilitarianism is his argument for the qualitative separation of pleasure.


-Bentham treats all forms of happiness as equal, whereas Mill argues that intellectual and moral pleasures (higher pleasures) are superior to more physical forms of pleasure (low pleasures).


-Mill distinguishes between happiness and contentment claiming that the former is of higher value than the latter (행복과 만족을 구별). 


-Mill defin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er and lower forms of happiness with the principle that those who have experienced both tend to prefer one over the other. (higher pleasures를 경험한 사람일수록 higher pleasures 추구하는가?)

-Mill's argument is that the "simple pleasures" tend to be preferred by people who have no experience with high art, and are therefore not in a proper position to judge. judge의 입장에 설 수 있는 사람은 반드시 high pleasures를 추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The qualitative account of happiness that Mill advocates thus sheds light on his account presented in On Liberty.






밀과 벤담은 모두 공리주의 철학자이다. 벤담은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것이라면 어떤 쾌락(pleasures)이든 상관 없다고 말했지만 (양적 쾌락) 밀의 경우는 쾌락을 두 종류로 구분지어서 인간은 단순한 만족 (낮은 쾌락 추구) 에서 벗어나서  높은 쾌락을 통해서 행복을 이뤄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쾌락을 평가하는 기준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문화적 요소도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높은쾌락-낮은쾌락 구분은 논쟁을 가져오기 충분하다. 정의를 추구하는 점에서도 공리주의자들은 결과만 행복하면 된다고 보는데, 이 과정에서 보이는 도덕적 문제점들이 좋은 결과덕에 언제나 정당화 될 수 있는지...? Mill은 정의를 추구하는 것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Bernard Williams가 두 가지 사례로 보여줬던 것처럼 정의와 공리가 부딪히는 지점이 생기는 것은 불가피하다. 


아!!!! 어려워!!!!